글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컨설팅] _ 7. 꿈을 잘 활용하면 글쓰기에 도움이 된다.
누구나 수면에 빠져들면 꿈을 꾸는 일이 많다. 예외적으로 꿈을 안 꾼다는 사람도 있다. 꿈에 대한 해석은 제각각이다. 꿈이 미래를 예측하기도 하고, 현재의 자기 상태를 꿈을 통해 보여주기도 한다는 사람도 있다. 또한, 꿈을 길흉으로 판단하고 예민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런 반면에 꿈은 맞지 않다며 개꿈으로 여기는 사람도 없지 않다. 하지만 단순하게 인과 관계로 얘기한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이 세상에 모든 일은 원인이 있기에 결과가 따른다는 것이다. 사람이 다투는 것도 뭔가 이유가 있기 때문이고, 애들이 우는 것도 배가 고프든지, 혹은 아프든지 실례를 했든지 등 그 어떤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꿈을 함부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
꿈의 유무를 떠나서 꿈을 잘 활용해서 실생활에 도움이 된다면 굳이 외면할 필요가 없다. 어떤 사람은 꿈을 통해 공부했다는 사람도 있다. 현실에서 풀지 못한 문제를 꿈속에서 풀었다는 얘기다. 그리고 꿈의 세계는 현실에서 예측하지 못한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간혹 판타지 같은 일도 경험한다. 그런 일들을 글감으로 연결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래서 잠을 자기 전에 머리맡에 필기구를 준비해 두고 자는 버릇을 들이는 것도 좋을 법하다.
흔히들 꿈에 윗니가 빠지면 부모가 상한다고 하고 아랫니가 빠지면 자식이 상한다고 말한다. 물론 이 또한 100% 맞다고 단정 짓기는 힘들다. 대개 이가 약한 사람은 이 꿈을 꾸는 일이 많을 것이니 꿈이 안 맞을 수 있다. 하지만 이가 건강하여 평소에 이에 대한 고민이 없는 사람이 꿈에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긴장할만한 사건이다. 이 또한 장담할 것은 못 되지만 만약 자기가 무심코 넘겼다가 나쁜 일을 당하면 그땐 어쩔 것인가? 아무튼 꿈의 세계는 인간이 해석하기는 간단치가 않은 부분이다. 믿기도 그렇고 믿지 않기도 그렇고…… 어떻게 보면 좋든 나쁘든 그 몫은 자기 것이라는 것이다.
꿈의 비밀을 알기는 인간에게 어려운 숙제일 수 있다. 평생을 꿈꾸고 살면서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생을 마감하게 된다. 인간이 지식을 쌓기 위해 아무리 공부해도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한 번쯤 그 한계에 도전할 필요가 있다. 꿈을 활용해서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글 쓰는 사람에겐 형언할 수 없는 꿈속의 풍경을 배경으로 삼을 수도 있고 묘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꿈속에 만나는 여러 인물의 심리묘사도 쓸 수 있고, 전쟁이나, 상대방과 다툼이나 죽음에 관한 것도 하나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 꿈은 꿈이고 현실은 현실이라고 단정하기보다. 꿈은 곧 현실이고 현실은 곧 꿈이라는 논리가 오히려 더 명답인지 모른다.
일반적으로 일을 할 때 할 수 있다고 하는 사람은 그 일을 완수해낼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고 그 일을 할 수 없다느니 어렵다느니 하는 사람은 그 일에 실패할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꿈을 현실로 끌어올 수 있고, 이를 잘 활용하여 글쓰기에 도움에 된다고 하는 사람은 단 하나라도 건질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능력은 무한하다. 생각의 차이는 클 수밖에 없다. 영웅들은 남이 쉽게 할 수 없는 일을 해낸다는 점이다. 그래서 영웅이 되는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은 남들에게 우상의 인물이 될 수 없다.
지금부터라도 잠자리에 들면 조금은 비장해지자. 꿈을 등한시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내 것으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 현대인들은 일과가 너무 빠듯하다. 여유 있는 시간을 가지기도 힘들다. 수면시간도 부족하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꾸어지는 꿈이라면 좀 더 관심을 두고 연구해 보았으면 한다. 꿈속에 있다가 눈을 뜨면 꿈 이야기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반대로 현실처럼 꿈이 생생한 것도 있다. 하지만 꿈꾸다 깨어날 때 최대한 긴장해서 일어나는 훈련을 해보라.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 꿈에 대한 기억을 훨씬 더 많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얘기가 막연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그런 경험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꿈을 무기로 작품이 만들어진다면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copyright © 글동네 by 정 많은 정쌤. ALL RIGHTS RESERVED.
이 글은 무단복제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글쓰기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컨설팅] _ 9. 남의 작품을 따라 쓰는 것은 개성을 잃어버리는 것 (0) | 2020.03.18 |
---|---|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컨설팅] _ 8. 글을 잘 쓰고 싶으면 문장에 리듬을 타라 (0) | 2020.03.17 |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컨설팅] _ 6. 편식하면 건강에 나쁘듯 공부도 폭넓게 해야 글쓰기가 수월하다. (0) | 2020.03.13 |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컨설팅] _ 5. 남들과 이야기를 많이 하라 (0) | 2020.03.12 |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컨설팅] _ 4. 호기심을 촉발시켜라 (0) | 2020.03.11 |